시장동향

마감시황

뉴스 및 이슈 트렌드를 분석하고 시황을 체크합니다.
✅2024년 12월 2일 마감브리핑📈KOSPI 2,454.47pt (+0.06%)📉KOSDAQ 675.84 (-0.35%)"완전히 상실된 신뢰도, 회복불능 상태로 보여지는 국내증시"금일 코스피와 코스닥 거래대금이 각각 7.0조원, 2.2조원 발생하면서 합산누계 9조원을 기록. 반면 가상화폐와 관련하여 업비트에서만 리플 거래대금이 5조원을 기록했으며, 도지코인, 시바이누, 스텔라루멘, 헤데라 등의 알트코인거래대금이 각각 1.7조원, 1.4조원, 1.2조원, 0.9조원으로 이미 5개 종목 거래대금만으로 국내 주식시장(코스피, 코스닥) 거래대금을 상회. 계속해서 국내 대기업들의 횡포와 사기행위가 만연하고, 여기에 상법개정에 대해 금융위나 정부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지속 표명함에 따라 모든 자금은 코인, 해외주식, 아파트 시장으로 빠르게 이동되는 모습. 이에 국내증시는 계속해서 반등하지 못하고 상승분을 반납하거나, 하루에 나홀로 -2% 가까이 하락하는 흐름 지속되고 있음. 한편, 금일 카카오 계열 종목들이 모두 원만하게 주가 상승랠리 지속. 여기에 게임종목들도 일제히 강세를 기록했으며, 가상화폐 관련주나 STO 관련주도 덩달아 양호한 분위기 조성. 반면, 반도체, 이차전지, 조선, 전력/전선, 방산, 자동차 등 국내 주요산업 핵심 기업들의 주가는 일제히 하락. 특히 코스피에서 경영권 분쟁의 고려아연 주가만 +20% 오르며 시총 30조원을 두드리는 모습. 이러한 아수라장 같은 행태 지속되면서 투자자금은 빠르게 다른곳으로 이탈되고, 수급이 받쳐주니 않으니 호가 변동성 매우 크게 나타나면서 연일 하락중인것으로 보여짐. 거듭 강조되는 이야기지만, 국내 주식시장의 분위기가 변화되려면 상법개정, 금투세 폐지, 공매도 전산화 등 산적해있는 코리아디스카운트 요소가 해소되어야 할듯. 그 이전까지는 빠르게 확산되는 '국장 탈출은 지능순' 커뮤니티가 유튜브 등 IT 온라인을 타고돌며 SELL ON 모드 유지시킬 전망. 오늘 하루도 고생많으셨습니다.
stock 2024.12.02 Votes 0 Views 271
✅ 2024년 11월 29일 마감브리핑📉 KOSPI 2,455pt -1.95%📉 KOSDAQ 678pt -2.33%미국증시가 추수감사절로 휴장했지만 →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부과 예고에 반발한 멕시코·캐나다의 보복관세 의지표현이 → 글로벌 보호무역 기조 강화 → 수출주도형 국가인 한국에 대해 Negative energy 확산→ 이에 국내증시는 금일 -1% 가까이 하락출발하더니 장중 -2% 넘게 추가조정, 결국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1.99%, -2.27% 수준에서 마감. 그래서 주변을 둘러봤더니 홍콩 항셍지수, 중국 상해종합지수, 일 니케이지수는 ±0.5% 내외에서 상승/하락중이며, 미국과 유럽 선물지수는 오히려 +0.5%대 강세를 기록중인 상황. 도대체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할까?금일 하락에 대하여 엔화 강세에 따른 캐리 트레이드 우려, 대중국 반도체 수출규제 움직임, 러시아 군용기 kadiz 진입 보도 등 다양한 해석이 붙여지고 있으나 다 일회용적으로 소비될뿐 그 무엇도 현재의 국내증시를 해석하기엔 논리가 부실한 모습. 이에 대부분 역사적 코스피와 코스닥지수의 레벨 수준이라던지, IMF나 금융위기, 코로나펜데믹 정도에나 이정도 떨어졌다라던지 이러한 역사적 패턴에 대해 논의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음. 이는 현 시점 국내증시가 어떤 매커니즘에 의해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 해석이 어렵다는 방증이 아닐까?다음주부터는 12월에 진입. 연말·연초를 앞두고 있는만큼 배당락 등 이벤트에 의해 힘이 더 빠질 가능성 존재. 무엇보다 한국에서는 금투세 폐지, 상법개정에 대한 진척도가 계속해서 초미의 관심사가 되겠음. 이번주 한주도 고생많으셨습니다.
stock 2024.11.29 Votes 0 Views 267
마감시황: 눈 속에 파묻혀 조용한 하루할까? 싶은 상황에서 나온 깜짝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코스피는 보합선에서 마감. 대형주들은 하락하고, 중/소형주들은 상승하며 코스피는 상승 종목 비중이 55.18%로 더 많았음에도 부진한 모습. 반면 중/소형주 그 자체인 코스닥은 소폭 상승으로 마감. 흥미로운 건 코스닥의 상승 종목 비중은 절반이 안되었다는 점.📈코스피 2,504.67(0.06%)📈코스닥 694.39(0.35%)반도체는 어제에 이어 한파 계속. 📉SK하이닉스와 사실상 SK하이닉스인 📉SK스퀘어가 나란히 4.28%, 7.85% 폭락. 종합 전기전자 기업 📉삼성전자도 1.42% 하락하며 지수 하락에 기여. 북미 반도체 시황을 정직하게 따라가는 섹터인 만큼 하락을 피할 수는 없었지만 투자자들의 생각은 제각각인 것에 주목. 반도체 겨울론의 모건스탠리는 꾸준히 삼성전자/하이닉스를 팔고 있으나 JP모건은 SK하이닉스를 사흘 연속 꾸준히 매수. 삼성전자에 대한 매도도 멈춤. 오늘 활황이었던 섹터는 바이오/제약/헬스케어. 이 섹터만 한정해서 보면 국내 주가지수가 2%대 상승한 것과 같은 착각을 줄 정도로 의약품 섹터 강세 마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기관과 외인의 쌍끌이매수에 힘입어 딱 100만원 안착. 내년도 5조 매출을 이루겠다는 서회장님의 📈셀트리온 또한 4.84% 상승. 코스닥의 📈셀트리온제약은 장중 16%까지 폭등 후 10% 상승으로 마감.양대 바이오 뿐 아니라 📈녹십자(5.34%), 📈종근당(3.71%), 📈대웅제약(2.46%), 📈한올바이오파마(6.26%) 등 그 이하 규모의 제약사들도 전반적으로 강세. 코스닥에서도 📈에스티팜, 📈바이넥스 등 기업들이 강한 모습을 보였지만, 시총 상위권의 📉HLB, 📉삼천당제약, 📉휴젤 등의 기업들이 부진.그 밖의 섹터는 큰 방향성을 보여주지 못한 모습. 배터리 섹터가 전반적으로 강세긴 하였으나 📈LG에너지솔루션 상승폭이 0.5%에 그치는 등, 일부 이슈가 있는 종목을 제외하면...
stock 2024.11.28 Votes 0 Views 246
마감시황: 코스피, 가까스로 2500 턱걸이극단적으로 나뉘어진 증시. 시장을 주도하는 전기전자 섹터 내 거의 모든 기업들이 큰 낙폭으로 하락. 하지만 전기전자 섹터를 제외하면 또 상당히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음. 전반적으로 지수는 하락하였지만, 종목에 따라서 하락을 전혀 체감하지 못할 수도 있었을 정도로 종목 간 격차가 큰 하루. 이에 전기전자 비중이 큰 코스피는 0.69% 하락하며 2500선이 위태로웠으나 코스닥은 0.17% 하락으로 생각보다 버틸만한 흐름을 보여줌📉코스피 2,503.06(0.69%)📉코스닥 692(0.17%)반도체, 미루고 미루던 IRA 관련 보조금을 말년에 몰아서 뿌리던 바이든 행정부의 활동을 DOGE부에서 제지한 소식과 美 증시 내 전반적인 반도체 약세가 맞물리며 📉SK하이닉스는 외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도 속에서 4.97% 급락. SK하이닉스의 최대주주 📉SK스퀘어 또한 동반 하락.📉삼성전자는 자사의 부진한 반도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사장단 인사를 단행. 사실 삼성그룹, 전자 외에도 일부 계열사도 함께 사장단 인사 개편을 진행했고 그 중엔 삼성그룹 최초의 여성 CEO가 나오는 등의 소식이 있었지만, 삼성전자 외에는 전혀 시장의 주목을 끌지 못함. 하지만 📉삼성전자, 사장단 인사 개편에도 불구하고 결국 최상위 인력들은 변함이 없다는 사실에 쇄신 기대감이 꺾이며 3.43% 하락 마감. 한동안 두 반도체 기업과 독립적 흐름을 보여줬던 반도체 소재/장비 기업들도 오늘은 동반 하락 마감.보조금이 주요 수입원인 사업은 사실 반도체보다 2차전지지만, 이미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이 확실해진 순간부터 충분히 반영해왔던 만큼 당일 낙폭은 작은 편. 보조금을 제외하면 적자인 📉LG에너지솔루션은 고작(?) 1.35% 하락으로 마감하며 반도체보다 양호한 흐름.반도체/배터리 모두 약한 상황은 곧...
stock 2024.11.27 Votes 0 Views 245
마감시황: 다양한 뉴스들이 조금씩 조금씩 영향을 준 증시미국에서부터 이어지는 엔비디아 – HBM 디커플링 기조를 그대로 이어받으며 국내 시가총액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메모리 반도체는 큰 변동 없이 마감. 양대 반도체가 중심을 잘 잡아준 영향으로 1% 넘게 하락한 닛케이225에 비해 국내 양대 지수는 0.5%대 하락으로 방어.📉코스피 2,520.36(0.55%)📉코스닥 693.15(0.53%)개장을 조금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언급이 아시아 시장을 타격, 이로 인해 가장 타격을 입은 것은 💵외환시장으로 이것이 개장 시점 환율이 폭등한 원인.하지만 이 소식으로 수혜가 기대되는 종목도 있었으니 📈한화솔루션이 있음. 북미 점유율 1위 태양광 기업 🌞한화큐셀의 모기업인 만큼 중국산 패널 추가 관세의 수혜주로 부각되며 5.05% 상승 마감. 한화솔루션의 상승은 재생에너지 섹터 전반의 상승을 이끌어냄여기에 🇨🇦캐나다/🇲🇽멕시코산 제품에 대해 25% 추가 관세를 매기겠다는 발언은 북미 시장에 팔고 있는 차가 대부분 현지(미국) 제조 또는 국내 제조인 📈현대차와 기아에게 호재로 작용. 생산대수 기준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 Top3에 등극하며 폭스바겐, 토요타와 직접 경쟁하는 규모까지 성장한 가운데 멕시코 생산 규모가 큰 폭스바겐의 악재는 곧 현대차의 호재이기 때문. 📈현대차는 2.05% 상승, 기아는 강보합으로 마감.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동유럽 휴전 압박과 일론 머스크의 국방부 언급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600270)에 국내 방위산업 기업들 대폭 하락.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1%, 📉현대로템 13.17%, 📉한화시스템 10.04% 등 주요 방위산업 관련 기업들이 대거 하락 마감.동유럽 휴전 압박은 곧 우크라이나 재건이라는 논리에 따라 국내 건설기계 관련 기업들 강세. 📈HD현대건설기계가 7.64%, 📈진성티이씨가 5.3% 상승하는 등,...
stock 2024.11.26 Votes 0 Views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