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동향

마감시황

뉴스 및 이슈 트렌드를 분석하고 시황을 체크합니다.
👏 2024년 6월 19일 마감브리핑📈 KOSPI 2,797.33 (+1.21%)📈 KOSDAQ 861.17 (+0.26%)"들어올리겠다는 의지로 +2조원 태운 외국인"이제서야 HBM 진가를 알아본걸까, 아니면 본인들의 수가 이제 아다리(?)가 맞아 떨어지기 시작한걸까. 어제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 +7,700억원 순매수한데 이어 오늘도 장막판 2,800pt를 맞추려고 시도하며 +1.8조원 순매수하다가 장막판 -4천억 던지며 +1.4조원 순매수 마감. 덕분에 코스피지수는 28개월만에 2,800pt를 터치하는듯 하다가 2,797.33pt로 아쉽게 마감. 그러나 코스피 1~30위에 포진된 종목들은 SK하이닉스(2위, -0.43%), 한미반도체(21위, -1.39%)를 제외하고 모조리 상승했으며, 상승 강도도 평균 +2~3% 이상. 비만치료제 공장 증설에 나선 삼천당제약이 +15% 오르며 16.3만원, 원자력 에너지로 전력생산 비중을 높여갈거란 기대감속 두산에너빌리티 +7.25%, 김정은-푸틴 정상회담속 방산 관련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8.17%, 유튜브 쇼핑 전용스토어 개설기능 추가한 카페24 +29.91%로 상한가, 인터배터리 유럽2024가 열리는 당일 모멘텀 되살아나며 에코프로머티 +5.16%, LG에너지솔루션 +3.63%, 시프트업 IPO 앞두고 국내 게임 상장기업 1위 크래프톤 +4.88% 등 다양한 테마에 헬륨풍선 장착한듯 랠리 지속. 반면 삼양식품 -5.48%, 오리온 -5.45%, 농심 -6.79%, 오뚜기 -4.08%, 빙그레 -6.44% 사조대림 -10.97%, 교촌에프앤비 -9.09%, CJ씨푸드 -7.89%, 에스앤디 -8.02% 등 보란듯이 음식료 업종 패대기 치며 급락. 누가봐도 개별기업 모멘텀에 의한 장세가 아니라 Sector를 누가 몰아사고 몰아서 파냐에 의한 시세형성 되고 있다는 느낌 강화. 아울러 에이피알 -3.98%, 아모레퍼시픽 -1.93%, 브이티 -5.34%, 마녀공장 -6.83%, 토니모리 -9.28%, 에이에스텍 -6.28%, 에이블씨엔씨 -5.22%, 아이패밀리에스씨 -3.50%, 제이투케이바이오 -7.37% 등 재밌게 잘 놀다 간다는듯이 화장품주도 급락. 그렇다고 제약바이오나 항공여행, 로봇, 게임/메타버스 등 기타 섹터들이 좋지도...
stock 2024.06.19 Votes 0 Views 192
✔️ 2024년 6월 18일 (화) 마감브리핑📈 KOSPI 2,763.92 (+0.72%)📉 KOSDAQ 858.95 (-0.00%)지난주 대형 이벤트를 소화한뒤 시장의 관심은 유럽의회선거에 쏠렸고, 여기서 프랑스를 중심으로한 강경우파 지지율 상승이 지금까지의 미국-유럽 지형도에 변화를 요구했으며, 이로인해 시장은 불확실성속 급락. 이번주 월요일부터 국내증시는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현대차를 비롯한 시가총액 상위종목들이 나스닥, S&P500 신고가 랠리에 힘입어 분발하자 덩달아 강세. 반면 이차전지와 그 외 섹터에 포진된 종목들은 약보합 또는 하락흐름 이어졌는데, 체감적으로 약세장이었을것.만약 지난주부터 화장품, 음식료 Sector에 올라탔다면 그나마 따뜻한 온기속 시장을 지켜볼수 있었겠으나 이 마저도 아니었다면 소외감은 한층 강화되었을것으로 예상됨. 무엇보다 이차전지 관련주는 지난주부터 EU의 중국 전기차 관세율 인상 소식에 반등하더니, 유럽 강경우파 득세에 친환경에너지 관련 정책이 힘을 잃을거란 부정적인 보도에 의해 재차 상승폭 반납. 이 시점에서 이차전지를 어떻게 봐야할까? 일단 Fix 된 내용만 정리하면 미국과 EU에서 중국 전기차 배제를 위해 관세를 높였고, 이는 한국 기업들에게 반사이익으로 돌아올것임. 이게 규제장벽에 대한 이야기라면 전기차 시장에서는 고금리 부담이 낮아지는 과정에서 전기차 구매가 좀더 활발해질수 있을것이고, GM, BMW 등의 완성차 OEM 업체들이 EV신차 모델을 내놓음으로써 소비자 선택지가 넓어지고 판매량이 늘어날수 있을것임. 그런데 이런 판매량 수치는 통상 qoq, yoy 증감률을 보기 때문에 이 1~2주안에 벌어진 일에 대한 설명은 불가능. 단기는 위 언급한바와 같이 정치·외교적 결정에 따른 요소에 영향을 받았으니 오히려 주가하락은 저가 매집 기회로 활용하길 권고. 종합하자면 이차전지가 2024년 2분기를 기점으로 저점을 형성하고 (실적) 3분기, 4분기에 반등할것이란 전망에는...
stock 2024.06.18 Votes 0 Views 394
✅ 2024년 6월 17일 (월) 마감브리핑📉 KOSPI 2,744.16pt (-0.52%)📉 KOSDAQ 859.00 (-0.37%)"프랑스, 유럽에서 강경우파 득세.. 친환경 에너지 관련주 약세 심화"최근 유럽의회 선거에서 프랑스 극우 국민연합(RN)이 집권당인 중도성향 '르네상스'를 누르고 압승하며 기세를 몰아가는 상황, 6월 30일, 7월 7일로 예정된 조기 총선에서도 비슷한 결과로 RN이 승리할 가능성 높아지자 프랑스 증시는 크게 하락했고 이 여파가 유럽 전체로 확산미 증시는 여기에도 별다른 타격없이 지나갔으나 금일 주요 아시아증시는 일제히 하락, 특히 유럽 극우 성향의 경우 친환경에너지 정책을 밀어내는 스탠스라고 알려지면서 2차전지 및 친환경에너지 관련주 약세 심화. 금일 국내에서도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POSCO홀딩스, 에코프로, 에코프로비엠 등 2차전지 관련주 일제히 약세를 기록중. 한편, 현대차의 경우 인도 증시에 상장하여 수 조원을 조달할수 있다는 기대감속 +4%대 강세로 신고가 기록. 이에 국내 자동차 부품 Value-Chain 에 속한 에스엘, HL만도 와 같은 기업들도 덩달아 강세. 이 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LIG넥스원, LS ELECTRIC 등 방위산업 관련기업들의 주가 퍼포먼스가 양호했으며, 음식료, 미용의료기기, 보톡스 쪽도 분위기 좋았으나 장막판 매물출회되며 약보합권까지 상승폭 반납. 반면, 위 언급한바와 같이 이차전지 약세 심화, 여기에 화장품 관련주도 낙폭 컸으며, 제주맥주, 사조오양, 우양과 같은 음식료 테마주들은 -10% 넘게 하락했고, 삐아, 토니모리, 잉글우드랩 등 화장품 일부 종목들도 -10% 에 가깝게 낙폭 확대. KOSPI200에서는 율촌화학, 씨에스윈드, 포스코퓨처엠, LG에너지솔루션, 엘앤에프 등 친환경에너지 관련종목들이 대거 약세를 기록. 이는 앞서 말한대로 유럽의회 강경우파 장악 우려 때문으로 풀이. 다만, 6월 말 유럽 인터배터리데이가...
stock 2024.06.17 Votes 0 Views 323
✔️ 2024년 6월 14일 (금) 마감브리핑📈 KOSPI 2,758.42 (+0.13%)📉 KOSDAQ 862.19 (-1.05%)"가요제에서 메인 가수 공연 끝난느낌"이번주 CPI, FOMC, 선물옵션만기일 등 Big Event 소화해내며 지수는 점진적 상승. 물가와 고용지표가 둔화되었기 때문에 9월 금리인하 가능성이 한결 높아졌기 때문. 일각에서는 미국이 중국과의 격차를 내기 위하여 채권을 대규모로 발행해야 하는 상황인데 채권이 넘쳐흘러서 가격이 하락하면 금리가 오르니 시장에 계속해서 금리인하 가능하다는 시그널을 줌으로써 대규모 채권 발행 + 상대적 낮은수준금리 라는 2마리 토끼를 잡고 있다는 평가도 나옴. 그렇게 찍어낸 돈으로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IRA 법안을 통해 이차전지, 반도체 공장을 미국으로 불러들여 보조금을 지급했고, 미국 내에서도 신용, 의료 등의 문제들을 해결해주면서 미국 경제가 4~5년만에 GDP +40%성장이라는 엄청난 (2020년 20조 달러 → 2024년 28조달러) 성장을 기록중. 이에 미국증시는 사상 최고가 경신을 지속하고 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에 시달리는 한국증시의 경우 여전히 지난 2021년 6월에 기록했던 3,316pt 고점 대비 -16.82% 약세권 지속. 만약 미국만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면 그럴만 하다고 생각했겠지만, 유럽과 대만, 일본 등 범주화가 어려운 수많은 국가의 증시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사상 최고가 경신중. 한국은 시가총액 구성상 삼성전자를 비롯한 반도체 + 이차전지가 추가 상승해야만 하는데 엔비디아가 액면분할 전 기준으로 2022년 10월 100달러에서 1,300달러로 13배 오르는 동안 삼성전자는 고작 45% 상승. AI 와 반도체 랠리는 오로지 미국상장 기업과 SK하이닉스만 누렸고, SK하이닉스에 TC-본딩 장비를 공급하는 한미반도체와 그 몇몇 테마주들만 수혜를 본바, 이런수준으로는 코스피 지수가 한단계...
stock 2024.06.14 Votes 0 Views 344
✅ 2024년 6월 13일 (목) 마감브리핑📈 KOSPI 2,754.89 (+0.98%)📈 KOSDAQ 871.33 (+0.08%)CPI, FOMC, 선물옵션 만기일 대형 이벤트 소화, "미국은 1% 올랐는데.."하루사이 투자자들을 긴장케 했던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FOMC회의 및 금리결정이 이뤄지면서 Not bad한 흐름이 이어졌으나 금일 국내증시는 선물옵션만기일을 맞아 장초반 강세를 보이다가 장막판 상승분 반납하며 +1%가 채 안되는 수준에서 마감. 코스닥의 경우 +0.08% 상승하며 거의 움직이지 않은 수준인 보합권에서 마감. 이차전지도 코스피 종목만 오르는 등 전형적으로 만기일 특징이 두드러짐. 장중 삼성전자가 +3% 넘게 오르고, SK하이닉스는 +5% 넘게 상승하며 신고가를 기록하는 등 전일 미국 기운을 받아 2,800pt 터치 이뤄질것만 같다가 결국 대부분 토해낸 모습.  오늘 밤에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등이 발표되면서 '물가'에 대한 메세지가 이어질 전망. 이제 초미의 관심사는 과연 9월에 금리인하를 할수 있겠느냐인데, 통상 3,6,9,12월 중에서 금리결정을 하기 때문에 올해 9월 금리인하를 하지 못하면 사실상 금리인하는 없다고 봐야할듯. Best 시나리오를 써보자면 7월 금리인하인데, 일각에서는 이런 이야기도 나오고 있지만 이런 것들은 우리가 상상하는것보다 갑자기 급격히 물가가 무너지는 데이터가 도출되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을것으로 보고 있음. 따라서 금리문제는 계속해서 발표되는 미국 경제지표를 토대로 9월 금리인하에 초점을 맞춰야하며, 이제부터는 약 보름뒤부터 2Q(2분기)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개별기업에 대한 관심 높여갈 필요 ↑그동안 반도체, 화장품, 음식료의 경우 고성장률을 반영하여 주가가 급등한 양상이기 때문에 정말 앞으로도 그 '성장률'을 유지해나갈수 있겠느냐에 대한 검토 필요. 만약 시장이 기대하는 성장률을 충족하지 못할경우...
stock 2024.06.13 Votes 0 Views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