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회사소개
투자정보
시장동향
고객센터
종목리포트
리포트
유튜브
종목리포트
리포트
유튜브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무료정보받기
무료정보받기
시장동향
HOT ISSUE
뉴스 및 이슈 트렌드를 분석하고 시황을 체크합니다.
시장동향
HOT ISSUE
회사소개
투자정보
시장동향
고객센터
회사소개
투자정보
시장동향
고객센터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미국 3대지수 등락률
미국 3대지수 등락률- 뉴욕증시 3대지수 혼조 마감.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을 맞이해 지수 변동성은 제한되었으나 기술주 투심 악화 지속. 경기소비재/커뮤니케이션 강세 및 IT/에너지 약세 - WTI, 탄탄한 경제지표에 따른 강달러 영향 속 하락 마감. NDF 원/달러 환율 1,386.6원 호가 - 21일(금), 미국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약 5조 1천억 달러에 달하는 선물옵션 동시 만기가 예상됐는데 '큰 어려움' 없이 넘겼습니다.- 다만 엔비디아(-3.2%), 브로드컴(-4.4%), 마이크론(-3.2%) 등 AI장세의 핵심 반도체株가 약세를 보였습니다.- JP모건, 씨티, 골드만삭스 등 금융株는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와 연준(Fed)가 공동으로 검토한 각 은행별 'Resolution plans(=living wills)'이 미흡하다고 지적했습니다.* Resolution plans ─ 금융 기관이 부도 시에도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계획- 미국의 S&P 글로벌 PMI는 시장 예상을 상회(act. 51.7, est. 51.0)했지만 경기선행지수(act. -0.5%, est.-0.3%)와 기존주택판매(act. -0.7%, est.-1.0%)는 지속 부진했습니다.* 기존주택 중간 판매가격은 419,300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이에 미국의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는 -25.6으로 2022년 8월 말 이후 최저 수준까지 하락 + 연중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미국 증시 -DOW 39,150.33p (+0.04%) -NASDAQ 17,689.36p (-0.18%) -S&P500 5,464.62p (-0.16%) -Russell 2000 2,022.03p (+0.23%)
stock
ㆍ
2024.06.24
ㆍ
Votes
0
ㆍ
Views
278
다음주 글로벌 금융시장 주요이벤트 코멘트
다음주 글로벌 금융시장 주요이벤트 코멘트 1.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Big 3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안에 들어가는 마이크론이 실적발표를 앞두고 있는데, 여기서 DRAM/NAND/HBM과 관련된 유의미한 수치 도출될 전망. 시장 기대치 하회한다면 단기적으로 삼성전자,SK하이닉스 주가 흐름도 좋지 못할것이고, 이는 코스피 지수를 하락 견인할 요인2. 바이든/트럼프 TV토론 이후 지지율에 따라 전기차/2차전지 관련주 희비가 엇갈릴 전망. 트럼프는 전통적으로 오일(OIL) 기반 지지층이 두터워 전기차로 빠른 전환보다 석유중심 시대를 더 길게 유지하고 싶어하며, 여기에 바이든 경제정책인 IRA에 제동도 걸고 싶은 상황. 그러나 바이든이 좀더 유의미한 지지율을 확보하면 전기차/이차전지 및 친환경에너지 관련주들의 모멘텀은 되살아날 것3. EU정상회의와 관련해서는 정치적 불확실성 존재하며, 뭔가 되게 드라마틱한 변화만 아니라면 시장에 주는 충격은 제한적일듯. 당장 EU도 경제가 좋지 못하기 때문에 경기부양 측면에서 긍정적인 내용 도출될것으로 기대.
stock
ㆍ
2024.06.21
ㆍ
Votes
0
ㆍ
Views
218
KOSPI, 외국인이 사면 오를 확률 83%
KOSPI, 외국인이 사면 오를 확률 83%2023년부터 외국인 순매수와 KOSPI 방향성 간 상관계수는 83%. 결국 지수 성과를 결정짓는 수급주체는 외국인. 그렇다면 이제 질문을 돌려 해봐야 한다. "외국인은 언제 주식을 사고 파는가?" 외국인 투자자들이 볼때 한국은 이머징마켓이자 제조업 수출국가로써 중국경기가 좋아질때 같이 좋아진다고 본다. 따라서 한국은 중간 부가가치 생산국으로써 중국경제가 회복될때 외국인이 중국 대신 한국주식을 매수할수 있다. 외국인은 미국계, 영국계, 중국계 등 국가별로 개념이 나눠지는데, 미국계/영국계 영향력이 큰것으로 나타나며, 2024년 2분기이후 실적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수출종목 위주로 매수 포지션을 강화했다. 종합해보면 미국 및 서구 선진시장에서 인정받아 수출이 잘되고 있는 기업, 가령 이번에 화장품이나 K-FOOD, 과거엔 K-엔터가 보여주었듯 그런 기업들이 주가 상승력이 높다. 계속해서 반도체 관련주가 올해내내 좋은것도 마찬가지 개념이다. 반면, 미국이 중국 배터리와 전기차에 관세를 높이면서 미국과 유럽내에서 한국 배터리 기업의 반사이익이 기대되지만 아직 바이든-트럼프 대선이라는 BIG 이벤트이자 불확실성이 남아있는점, 전기차 캐즘구간에 접어들면서 신차출시 지연, 판매량 부진 등이 겹치고 있다는점이 아직까지 시장 주도주로 부상케 하지 못하는것 같다하여간, KOSPI는 계속해서 미국/영국계 외국인이 사면 오르고, 던지면 하락하는 구조로 진행되는바 국내증시가 글로벌 각가지 정치·경제 이슈에 민감한 이유다
stock
ㆍ
2024.06.20
ㆍ
Votes
0
ㆍ
Views
157
시총 1~5위 모두 AI 기업...美 경제 株도권 장악
시총 1~5위 모두 AI 기업...美 경제 株도권 장악미국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18일(현지시간)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1위 기업에 올랐다. 엔비디아에 이어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 알파벳(구글), 아마존 순으로 미국 증시 시총 1~5위가 꾸려지면서 AI가 시장을 주도하는 테마로 부상했다. AI 빅테크 기업으로 투자가 쏠리면서 미국 뉴욕 증시에 대한 낙관론도 팽배하다.1위 엔비디아는 AI 칩 시장을 80%를 장악하고 있고, 2위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오픈AI와의 협업으로 AI 경쟁력을 확보한 기업으로 꼽힌다. 상대적으로 AI 후발주자로 꼽힌 애플은 지난해까지 시가총액 1위 기업이었으나 올해 3위로 밀렸다.애플이 시가총액 1조달러를 돌파한 후 3조달러를 달성하는데 6년이 걸렸고, MS는 5년이 소요됐지만 엔비디아는 불과 1년 만에 시총 1조 기업에서 3조 기업으로 우뚝 섰다.미국 뉴욕타임스(NYT)는 “한동안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회사였던 시스코는 1990년과 2000년 사이에 주가가 천 배 이상 상승했다”며 “엔비디아의 부상은 시스코와 주니퍼 네트웍스와 같은 거대 닷컴 기업을 연상케 한다”고 지적했다.
stock
ㆍ
2024.06.19
ㆍ
Votes
0
ㆍ
Views
148
코스피, 시가총액은 커지지만 지수는 왜이래?
코스피, 시가총액은 커지지만 지수는 왜이래? - 코스피 지수가 제자리인 이유 코스피의 시가총액이 늘어난다는것은 코스피를 구성하고 있는 종목들의 시가총액을 모두 합산했을때 그 총합이 늘어난다는 의미다. 코스피지수 = Σ (코스피 상장종목 시가총액의 합)그러면 KOSPI 지수가 오르면 시가총액도 늘어나는게 아닌가? 답을 먼저 말하면 그렇지 않다. 시가총액은 아래와 같이 2가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지수는 가격에 해당하는것이고, 주식수는 언급하지 않는다. 시가총액 = ⑴가격 × ⑵주식수통상 주식수는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가격(지수)이 어느정도 되느냐고 생각하는데,미국과 달리 한국은 주식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시가총액은 늘어나지만 가격은 그대로인것이다. 만약 시가총액이 늘어나는데 총 발행주식수가 고정이면 지수(가격)는 오르게 되어있다. 그러나 한국 기업들은 물적분할, 인적분할 등을 통해 주식수를 계속 늘려대기 때문에 코스피 지수가 오르기 어려운 구조다. 그러니까 국내 코스피 상장기업들은 돈을 더 벌어 시가총액을 키우고, 총 발행주식수를 늘려 지수를 눌러버리는 구조다. 여기에 사모펀드가 외국인 노릇(검은머리 외국인)을 하면서 롱숏펀드를 구성, 하루 사고팔고 하면서 이스라엘, 중국, 미국 등 세계 악재를 온곳에 갖다대며 지수를 짓누른다. 여기에 질린 개미투자자들은 시장을 이탈하고, 이때 다시 받아낸 물량으로 증시를 높이 올린다. 그러면 개인투자자들은 다시 내가 틀렸다보다 하고 다시 시장에 뛰어들지만 그때 시장은 여지없이 재차 하락한다. 최근 불법공매도를 전산화 하자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금융감독원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하게 이에 대해 Negative한 관점을 유지, 내년 3월까지 시스템을 만든다고 외쳤으나 어떻게 될지 알수 없다. 지난 10년동안 공매도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어왔으나 15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도 그 시스템이 유지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의 끊임없는...
stock
ㆍ
2024.06.18
ㆍ
Votes
0
ㆍ
Views
496
First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Last
All
Title
Content
Author
Search
회사소개
투자정보
리포트
유튜브
시장동향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고객센터
무료정보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