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동향

마감시황

뉴스 및 이슈 트렌드를 분석하고 시황을 체크합니다.

2024년 6월 20일 마감시황

Author
stock
Date
2024-06-20 16:26
Views
162

A6NRSGGmRAfpAAAAAElFTkSuQmCC

✅ 2024년 6월 20일 (목) 마감브리핑


📈 KOSPI 2,807.63 (+0.37%)

📉 KOSDAQ 857.51 (-0.43%)


"최악은 아니다, 상대적으로 양호한 KOSPI"


TSMC 보유국인 대만 가권지수는 2024년 올해 들어서만 +29.3% 상승했으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보유국인 한국 코스피지수는 최근 3거래일 연속 상승 기조에 힘입어 연중 +6.2% 상승한것으로 나타남. 


분명 지난 5월말 까지만 하더라도 오히려 연초대비 -% 마이너스로 전환했던 코스피는

이후 미국 물가지표 둔화 기조에 금리인하 기대감 커지며 약 20일만에 +6% 회복반등 했음. 


이 과정에서 지수를 상승 견인한것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그리고 현대차 정도가 되는데,

이차전지나 금융주가 상대적으로 정체되었음에도 지수가 +6% 가까이 오른것은 그만큼 반도체주가 분발해줬기 때문. 


대만 가권지수에서 보듯이 TSMC를 비롯한 반도체 중심 국가들의 지수는 계속해서 강세. 미국도 마찬가지이고, 일본도 올해 나쁘지 않은 흐름  


반면, 홍콩 항셍지수나 중국 상해종합지수, 그리고 최근에 선거 RISK가 부각된 프랑스 의 경우 상대적 하락 강도가 강하고,

그 외 원자재 국인 호주, 사우디, 브라질도 썩 좋지 못한 흐름 지속. 


종합해보면 미국 & 반도체 Vs 그 외 모든것 으로 시장 양상이 전개되고 있는 상황.

엔비디아가 최근 글로벌 시가총액 1위를 돌파한데 이어 오늘도 시간외거래에서 +7% 오르는 등 투자자금이 모두 반도체 쪽으로 쏠려가는 흐름 지속. 


그러나 우리가 한번 언급한것처럼, 엔비디아 칩을 대량구매했던 기업들이 이후 데이터를 갖고 소비자가 소비할만한 AI 서비스를 내놓을수 있겠느냐가 핵심.

지금 당장 글로벌리하게 체감할수 있는 AI 서비스는 챗GPT 외로 그리 크지 않은바, 향후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CAPEX 속도조절에 나설수 있음


금일 국내증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빼놓고는 그렇게 언급할만한 내용 없이 전개,

외국인이 오전에 -3,600억원까지 선물매도 포지션 잡다가 장막판 끌어올려 +1,500억원 순매수 포지션으로 변경하는 등

이번주 금요일까지 계속 반도체 중심으로 추가 상승 Maker 역할 해나갈것으로 예상됨. 


화장품, 음식료, 이차전지 섹터는 일제히 하락, 그중에서 화장품 관련주 낙폭 심화되었으며, 그 외로는 이렇다할 임팩트 없는 거래 지속. 


금일밤 미국에서는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그리고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가 발표될 예정인데,

여기서 또 한번 금리인하 기대감이 강화될지, 아니면 다시 "물가상승 기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버전이 될지 관심 집중. 만약 금리인하 명분을 강화해줄 실업수당청구건수가 늘거나 제조업활동지수가 약화된다면 증시는 또 한번 랠리 이어갈수 있을것

오늘 하루도 고생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