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회사소개
투자정보
시장동향
고객센터
종목리포트
리포트
유튜브
종목리포트
리포트
유튜브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무료정보받기
무료정보받기
시장동향
마감시황
뉴스 및 이슈 트렌드를 분석하고 시황을 체크합니다.
시장동향
마감시황
회사소개
투자정보
시장동향
고객센터
회사소개
투자정보
시장동향
고객센터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2025년 1월 13일 마감시황
✔️ 2025년 1월 13일 (월) 마감브리핑📉 KOSPI 2.489.56 (-1.04%)📉 KOSDAQ 708.21 (-1.35%)✅지혼자 잘살겠다는 U.S.A금일 국내 증시는 금리 상승 부담 속에서 장 초반, 선방하는 모습을 보이는듯 했으나, 결국 양대 지수 모두 하락으로 마감했습니다.먼저 미국 시장에서는 고용지표가 강세를 보이고 기대 인플레이션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시장 참여자들에게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국채 금리가 급등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되었고, 이는 2023년 10월 금리 급등기에 증시가 하락했던 상황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웠습니다. 더불어, 현재 무위험 미국 국채 금리 5% 수준은 신흥 시장에 큰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수 밖에 없으며 일부에서는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제기되며 투자 심리에 추가적인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특히 외국인은 선물과 현물을 대규모로 매도하며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로봇, 원전, 화장품과 실적 기반 관련주는 하락 장세 속에서도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이며 지수 방어에 일조하는 모습이였습니다. (이러한 종목군은 다음 장세에 대한 힌트가 될수 있음)이에 현 시점에서 전략을 살펴보면, 지수가 추세적으로 전환된 모습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저가 매수 전략이 여전히 유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이러한 전략은 금리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완화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이번 주 수요일 발표 예정인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결과에 따라 갈릴 것으로 보입니다.또한, 매출 기반이 부족한 종목은 현 시장에서 윗꼬리 위험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판단되며 이번 주부터 씨티그룹, 골드만삭스, JP모건 등 글로벌 주요 은행들의 실적 발표가 시작되며, 휴가철이 끝난 미국...
stock
ㆍ
2025.01.13
ㆍ
Votes
0
ㆍ
Views
56
2025년 1월 10일 마감시황
✔️ 2025년 1월 10일 (금) 마감브리핑📉 KOSPI 2.515.78 (-0.24%)📉 KOSDAQ 717.89 (-0.78%)✅그놈의 금리..금일 국내 증시는 양대 지수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전일 미국 증시가 휴장하며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지만, 미국 금리 이슈는 여전히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주요 연준 인사들이 금리 추가 인하에 대해 신중한 접근을 강조하는 발언을 내놓으면서, 시장은 뚜렷한 방향성을 찾지 못한 채 등락을 거듭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이와 함께, 아시아 증시 전반이 금리 경계감 속에서 하락한 가운데, 국내 시장에서는 2차전지 업종의 부진이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LG에너지솔루션이 실망스러운 실적을 발표하며 트리거가 되었고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 등 관련 종목들도 우려가 연동되며 지수 하락에 영향을 미쳤습니다.다만, 일부 업종에서는 긍정적인 흐름도 나타났습니다. 자동차 업종은 현대차가 엔비디아와의 협력 소식을 전하며 강세를 보였고 특히 AI 기반의 자동차와 로봇 개발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이 보도되며 투자 심리를 자극했습니다.이와 더불어 금융, 지주회사, 태양광 관련주들도 강세를 보였는데 특히 태양광의 경우 중국에서 우주에 태양광을 설치한다는 놀라운 소식에 따라 상승흐름을 유지했습니다.전망으로 넘어와, 앞으로도 시장의 주요 변수는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 방향과 이에 따른 시장 반응이 될 전망입니다. 특히 월가(미국판 여의도)에서는 관세 정책이 가장 주목받는 부분으로, 이는 구체적인 규모를 가늠하기 어려운 불확실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더불어 바이든 행정부가 임기 종료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투자자들의 긴장감이 고조될수 밖에 없는 상황이며 글로벌 교역을 극단적으로 위축시킬지 여부는 지켜봐야 할것으로 보입니다.이에 따라 종목 장세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탁금 흐름을 감안할 때,...
stock
ㆍ
2025.01.10
ㆍ
Votes
0
ㆍ
Views
57
2025년 1월 9일 마감시황
✔️ 2025년 1월 9일 (목) 마감브리핑📈 KOSPI 2.521.90 (+0.03%)📈 KOSDAQ 723.52 (+0.54%)✅15년 뒤에 다시오라네요금일 국내 증시는 단기 과열권에서 조정을 소화하며 양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먼저, 코스피는 저가 매수세가 5거래일 연속 유입되며 상승세를 지속했습니다. 특히 조선, 전력기기, 음식료, 보일러 등 수출주들이 호실적을 발표하며 지수 상승을 주도, 시장 안정에 크게 기여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하지만 코스닥은 금리 부담과 외국인의 매도세가 지속되며 대형주 중심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였고 특히 양자 테마는 엔비디아 젠슨 황 CEO의 발언 여파로 미국 종목들의 하락세와 연동되어 낙폭이 확대되기도 했지만, 장 중 LG, 삼성, 테슬라 관련 로봇 뉴스가 부각되며 로봇 관련 종목들이 선전, 지수가 상승 반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올해 글로벌 증시 상승률 선두를 한국 증시가 차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양 시장 모두 연말 기준 바닥권 수준까지 하락한 상황에서, 추가 상승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한 결과로 보입니다.더불어 세계적인 영국 투자은행인 HSBC가 홍콩과 한국 시장에 대한 투자의견을 상향 조정하며, 외국인 투자자들의 시각이 점차 긍정적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한국 증시가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물론 추가 상승을 위해서는 몇 가지 명분이 필요합니다. 국내 악재는 대부분 주가에 반영된것으로 보이지만 기업 실적이 바닥을 지나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확신이 필요하며 작년 외국인 매도세가 삼성전자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이 부분이 풀릴 경우 시장의 바닥론과 회복론에 힘이 실릴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두번째로 경제 회복에 대한...
stock
ㆍ
2025.01.09
ㆍ
Votes
0
ㆍ
Views
45
2025년 1월 8일 마감시황
✔️ 2025년 1월 8일 (수) 마감브리핑📈 KOSPI 2.521.05 (+1.16%)📈 KOSDAQ 719.63 (+0.19%)✅나야 삼성금일 국내증시는 삼성전자 실적 실망과 미국 증시 약세로 인해 장 초반 부진한 흐름을 보였으나, 이후 반등에 성공하며 양대 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먼저, 미국 국채 금리가 4.7% 수준까지 상승하면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위축되었습니다. 특히, 미국채 입찰에서 금리가 한 달간 상승한 상태임에도 낮은 입찰률을 기록하며 투자 심리를 더욱 악화시켰고 이로 인해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주요 위험자산이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특히 삼성전자의 경우, 실적 발표 초반에는 매도 압력으로 하락세를 보였는데 6.5조 원의 영업이익이 하향 조정된 시장 예상치(7조 원 후반)를 크게 밑돌며 비용 증가가 이익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실적이 바닥을 찍었다는 일부 전망과 함께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의 "삼성전자 HBM 공급에 대한 확신" 발언이 긍정적 영향을주며 상승 전환에 성공했습니다.(물론 그의 발언이 립서비스일 가능성과 기술 설계 변경이 필요하다는 언급도 주목할 만합니다.)또한, 삼성전자 실적이 일각에서 제기된 최악의 수준은 아니었으며, 이후 엔비디아 공급 회복 가능성 등 실적 개선 여지가 부각되면서 삼성전자 및 삼성그룹주 전반이 강세를 보였고 최근 뜨거운 감자였던 양자 컴퓨터 관련주는 젠슨 황 CEO가 상용화까지 15년에서 30년이 소요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며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어 약세를 기록했습니다.(참으로 한사람의 말 한마디가, 우리증시를 흔들어 놓는 점이 아쉽긴합니다. #약육강식)환율 이야기로 넘어가 보면, 최근 환율 안정은 국민연금의 환헷지 영향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입니다. 공식적인 자료는 없지만, 대부분의 시장 참여자들이...
stock
ㆍ
2025.01.08
ㆍ
Votes
0
ㆍ
Views
72
2024년 1월 7일 마감시황
✔️ 2025년 1월 7일 (화) 마감브리핑📈 KOSPI 2.492.10 (+0.14%)📈 KOSDAQ 718.29 (+0.05%)✅신도 약빨이 끝났나!!!금일 국내증시는 미국 증시의 호조에 힘입어 상승 출발했으나, 최근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기관 매도세로 인해 양대 지수 보합세로 마감 하였습니다. 장 초반의 경우 대만 반도체 기업 폭스콘의 호실적과 CES 모멘텀에 대한 기대감이 반도체 업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시장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종목이 상승세를 이끌며 지수 상승에 기여했으나, CES 2025 젠슨 황 연설 이후 매물 출회가 증가하면서 반도체 업종의 상승 탄력이 둔화되었고, SK하이닉스 또한 하락 전환하며 지수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더불어 코스닥 시장 역시 일부 제약 및 로봇 대형주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매물이 나오며 상승폭이 제한되었고 하락 종목수 또한 상승 종목이 비해 약 300종목 정도 많아 체감지수 또한 나쁜 편이 였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현재 증시는 매물이 나올 만한 구간이기도 했습니다. 최근 2거래일 급등 피로와 삼성전자가 60일 이동평균선 부근에 위치하고, SK하이닉스가 20만 원선을 기록하는 등 기술적으로 중요한 저항 구간에 도달한 상황입니다.더불어, 삼성전자 실적 발표와 옵션 만기일, 미국의 고용 지표 발표,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 취임 임박 등의 일정과 재료들을 앞둔 점 또한 매도 압력을 넣을 수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상승세가 이어질지 여부는 미 증시의 고용 지표에 따른 금리 여부에 따라 방향이 갈릴수도 있겠습니다.마무리 하며, 현재 긍정적인 추세가 아직 무너지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특별한 악재가 발생하지 않는 한, 현 흐름이 이어질...
stock
ㆍ
2025.01.07
ㆍ
Votes
0
ㆍ
Views
52
First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Last
All
Title
Content
Author
Search
회사소개
투자정보
리포트
유튜브
시장동향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고객센터
무료정보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