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회사소개
투자정보
시장동향
고객센터
종목리포트
리포트
유튜브
종목리포트
리포트
유튜브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무료정보받기
무료정보받기
시장동향
마감시황
뉴스 및 이슈 트렌드를 분석하고 시황을 체크합니다.
시장동향
마감시황
회사소개
투자정보
시장동향
고객센터
회사소개
투자정보
시장동향
고객센터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2024년 12월 30일 마감시황
✔️ 2024년 12월 30일 (월) 마감브리핑📉 KOSPI 2.399.49 (-0.22%)📈 KOSDAQ 678.19 (+1.83%)✅Good Bye 2024금일 코스피는 반도체와 2차전지 업종(LG에너지솔루션 등)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축소되어 약보합세로 마감했습니다. 반면 코스닥은 바이오와 헬스케어 업종이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2차전지가 하단을 지지하며 상승 마감했습니다.특히 글로벌 증시 대비 현저히 저평가된 국내 증시는 2020년 코로나 이후 PBR 수준이 (현 0.83) 해당 수준에 도달한 적이 없는 점을 빗대어 보아 장 초, 낙폭분에서 일부 저점 매수세가 유입된것으로 판단 됩니다.반면, 코스닥 시장은 연초 수급 효과와 최근 10년 중 8회동안 1월 첫 주, 상승했던 경향이 다시 주목되고 있으며. 이 외 양도소득세 관련 매물이 해소된 이후 재유입되는 수급 효과도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특히, 증시 세부상황을 살펴보면 제약업종을 중심으로 대형주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양자, 로봇과 우주항공 업종도 강세를 보였으며 2차전지는 LG에너지솔루션이 2조 원 규모의 LFP 양극재를 중국에서 구매했다는 소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연휴, 오버나잇 우려로 인해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온것으로 판단됩니다.앞으로,1월 증시에서는 두 가지 주요 변수가 고비로 작용할것으로 전망되는데, 첫 번째는 정치적 변수로, 환율이 정점을 찍는지가 중요한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이는 상황입니다. 만약 환율이 1,500원을 피크로 형성한다면 외국인 자금 유입의 계기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두 번째는 삼성전자 실적입니다. 최근 실적 추정치가 지속적으로 하향 조정되는 가운데, 하향된 실적이 고정되는 계기가 된다면 삼성전자 주가는 저평가 인식으로 반등할 여지가 있습니다. 반면, 추가적인 실적 하향 조정이 있을 경우...
stock
ㆍ
2024.12.30
ㆍ
추천
0
ㆍ
조회
56
2024년 12월 27일 마감시황
✔️ 2024년 12월 27일 (금) 마감브리핑📉 KOSPI 2.404.77 (-1.02%)📉 KOSDAQ 665.98 (-1.43%)✅흩날리는 원화가치금일 국내 증시는 권한대행 탄핵 표결이라는 초유의 정치적 리스크가 지속되며 자금 이탈이 계속되었고 이에 따라 코스피는 장 중, 2,400을 하회. 양대 지수가 하락 마감했습니다.특히 환율은 장중 1,486원을 기록하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아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다만 1,480원대 후반에서 한국은행의 개입으로 추정되는 환율 방어 조치가 나타나며 현재는 1,470원대에서 안정된 모습을 보였지만, 근본적인 해결책 부재로 인해 이러한 방어도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하지만 오후 들어 코스피는 2,400포인트를 회복하며 해당 구간, 아래에서의 매수 전략이 다시 한번 효과를 발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물론, 지금 이런 얘기를 할 분위기는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이 구간이 단기 저점으로 작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죠. 특히 코스피의 PBR이 0.83배 수준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충분히 분할 매수시점으로 인식된 것으로 보입니다.다만 전체적 분위기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지수를 방어하며 하락 폭을 줄인 측면이 강했고, 전반적으로 하락 종목이 우세한 약세장 이었습니다. 특히, 외국인과 기관은 양 시장에서 순매도를 진행하였고, 주요 외신도 한국의 정치적 불안정을 지속적으로 다루고 있는 상황입니다. 블룸버그 또한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언급하며, 외국인 입장에서는 한국 증시의 불확실성이 여전하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AI 관련 기회와 밸류에이션 매력은 여전히 주목할 만한 포인트로 보입니다. 이는 금일 약세장 속에서도 HBM 관련주, 양자컴퓨터는 상대적으로 선전하는 흐름을 보여 부정적인 분위기 에서도 자신의 존재를 보여준 점에서 비롯 됩니다.물론 단기적으로는 정치 변수로 인해...
stock
ㆍ
2024.12.27
ㆍ
추천
0
ㆍ
조회
43
2024년 12월 26일 마감시황
✔️ 2024년 12월 26일 (목) 마감브리핑📉 KOSPI 2.429.67 (-0.44%)📉 KOSDAQ 675.64 (-0.66%)✅글로벌 랠리 속, 지겹게 고립되버린 코리아금일 국내증시는 고금리와 강달러 환경이 지속되면서 하방 압력이 강화되어 양대 지수가 하락 마감했습니다.특히 원/달러 환율이 연고점을 재차 경신하며 외국인 수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최근 2거래일 연속 거래대금이 12조 원대로 연내 최저치를 기록하며 유동성 부족이 두드러졌습니다.특히 국내 증시는 정치적 리스크까지 더해져 외국인이 현·선물 시장에서 2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기록했으며 여기에 연말 대주주 매물이 출회되면서 투자 심리를 더욱 위축시키며, 시장은 산타랠리가 아닌 약세장을 이어가는 모습입니다.하지만 이와 반대로 조선업종은 초강세를 보이며 일부 종목이 신고가 랠리를 기록했고 추가로 드론, 양자기술, 자율주행, 로봇 등 신성장 테마주 역시 순환매를 이어가며 AI 혁신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하지만 전반적으로 국내 증시 여건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정치적 리스크와 국내 자금 동향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트럼프 임기와 관련된 미국의 정치적 변수 역시 증시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더불어 현재 미국 장기금리는 4.6%를 돌파하며 다음 지지선인 4.75%를 향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 상승과 함께 환율은 1,460원을 돌파하며 IMF 외환위기와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를 연상케 하는 수준으로 상승했습니다.이에 따라 국내 시장은 먼저 환율 안정이 이루어진 이후에야 명확한 회복의 스토리를 만들어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다만,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수출주들은 환율 상승의 수혜를 입어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상황에 따라 전략을 유연하게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앞으로 추가적인 정보와 변화가 나타날...
stock
ㆍ
2024.12.26
ㆍ
추천
0
ㆍ
조회
41
2024년 12월 23일 (월) 마감브리핑
✔️ 2024년 12월 23일 (월) 마감브리핑📈 KOSPI 2.442.01 (+1.57%)📈 KOSDAQ 679.24 (+1.64%)✅진짜 과했다니까??금일 국내 증시는 미국의 물가 지표 안정화와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에 힘입어 양대 지수 모두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특히 11월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표는 전월 대비 0.1% 상승에 그치며 시장의 우려를 크게 완화시켰고, 굴스비와 윌리엄스 등 연준 주요 인사들의 내년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 발언이 더해지며 투자 심리가 한층 개선됐습니다.더불어 주말 동안에는 시장의 부담 요인이었던 셧다운 이슈가 부채 한도 협의 타결로 해소되어 투자 환경이 갑작스럽게 반전이 이루어졌고 업종별 호재 또한 두각을 내며 시장을 견인 했습니다. 먼저 반도체와 조선이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삼성전자의 미국 정부 보조금 지급 확정 소식과 브로드컴향 HBM 공급 가능성이 부각되며 반도체 업종이 상승을 주도했고, 조선 업종도 미국 선박법 개정 진전 소식에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미국이 자국으로 제한된 선박 수리와 생산을 한국으로 확대하는 방안이 양당의 지지를 받으며 법안 통과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물론 전체적으로 보면 국내외 시장 환경에는 여전히 불안 요인들이 남아있습니다. 트럼프 관련 정치적 불확실성, 금리 정책 방향성, 기업 실적 우려 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특히 시장의 중심축인 삼성전자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내년도 전망 역시 보수적으로 수정되는 추세입니다. 다만 이는 HBM 수주 상황에 따라 급변할수 있으며 이번주는 눈에 띄는 악재가 보이지 않기에 거래량이 적은 산타랠리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물론 삼성전자가 약세를 보이는 상황에서는 개별 종목 중심의 장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나 12월 중순 이후 기관...
stock
ㆍ
2024.12.23
ㆍ
추천
0
ㆍ
조회
56
2024년 12월 19일 마감시황
✔️ 2024년 12월 19일 (목) 마감브리핑📉 KOSPI 2.435.93 (-1.95%)📉 KOSDAQ 684.36 (-1.89%)✅파월 당신 뭐야..😱금일 국내 증시는 미 연준의 강력한 매파적 기조와 마이크론의 부진한 실적 전망이 겹치며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 특히 미 연준은 FOMC 회의에서 내년 금리 인하 전망을 기존 4회에서 2회로 축소했으며, 이에 따른 장기금리 급등으로 위험자산 선호도가 크게 감소했습니다. 여기에 마이크론이 실적은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향후 가이던스가 기대 이하로 제시되며 시간외 거래에서 16% 급락한 것도 시장 심리를 악화시켰고 이는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이러한 부정적 기조는 환율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원/달러 환율이 1,450원을 돌파했고, 이는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도를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더불어 미국의 옵션 만기 주간이라는 시기적 요인과 함께 변동성 지수(VIX)가 74% 급등하며 프로그램 매도를 유발해 시장 심리를 위축시킨 폭도 크다 생각합니다.그러나 전반적인 약세 속에서도 조선, 방산, 엔터테인먼트, 화장품 관련주와 일부 통신주는 강세를 보이며 차별화된 흐름을 보였고 반면 대부분 업종이 하락하긴 했으나 시장 하락을 주도한 업종은 , 반도체, 바이오, 인터넷 섹터 였습니다. 이 중 바이오와 인터넷 섹터는 통화정책에 대한 큰 부담이, 반도체 섹터는 마이크론의 부진한 전망과 통화정책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다만 현재의 시장 조정 폭은 다소 과도한 측면이 있어 보입니다. 현재 상황은 새로운 악재의 출현이라기보다 기대치가 조정되는 과정으로 보이며 추세 이탈보다는 등락이 반복되는 박스권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4분기 내내 기관이 매도하다가 최근...
stock
ㆍ
2024.12.19
ㆍ
추천
0
ㆍ
조회
45
처음
«
1
2
3
4
5
6
7
8
9
10
»
마지막
전체
제목
내용
작성자
검색
회사소개
투자정보
리포트
유튜브
시장동향
장전시황
마감시황
HOT ISSUE
고객센터
무료정보받기